Dongguk University
견우의 노래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높었다, 낮었다, 출렁이는 물살과
물살 몰아 갔다오는 바람만이 있어야 하네.
오— 우리들의 그리움을 위하여서는
푸른 은핫물이 있어야 하네.
돌아서는 갈 수 없는 오롯한 이 자리에
불타는 홀몸만이 있어야 하네!
직녀여, 여기 번쩍이는 모래밭에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허이연 허이연 구름 속에서
그대는 베틀에 북을 놀리게.
눈섭 같은 반달이 중천에 걸리는
칠월 칠석이 돌아오기까지는
검은 암소를 나는 멕이고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귀촉도』(1948) 수록
※
우리나라의 사랑 이야기 가운데 가장 시적인 사랑 이야기가 견우 직녀의 이야기가 아닌가 합니다. 이별이 가로놓인 애절한 사랑 이야기. 일 년에 단 하루만 만남이 허용되는 슬픈 사랑 이야기. 그러나 칠월 칠석이면 눈썹 같은 반달이 중천에 걸리고 하늘도 별도 지상의 모든 이들도 견우 직녀 두 사람의 사랑을 위해 가슴을 조입니다.
문정희 시인
------------------------------
이 시는 전래 설화인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를 통하여 사랑과 이별의 관계를 노래한 작품이다. 설화의 모티프를 우리 삶의 국면, 그것도 사랑의 국면으로 이끌어왔다는 점에서 「귀촉도」와는 다른 상상력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시는 ‘사랑은 기다림’이라는 명제를 시적인 언술로 형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명제가 그 후의 많은 사랑 시에 영향을 주어 무수한 변주를 낳게 했음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만큼 이 시는 사랑과 그리움에 대한 인간사의 보편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평범해 보이는 한 편의 사랑 시에도 미당의 선구적 감수성이 빛나고 있다.
이숭원 문학평론가
------------------------------
‘불타는 홀몸’이라는 국어를 처음 본다. 사랑과 그리움 때문에 몸에 불이 붙을 지경이다. 열모悅慕다. 사무치게 그리워야 몸안에 부싯돌이 켜진다. 이 뜨거운 몸으로, 불타는 홀몸으로, 은하수 건너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러 가는 것이다. 찬란한 찰나를 위해 삼백예순 날을 참았으니 은하수 건너기는 얼마나 시원할까. ‘한여름 밤의 꿈’이 인생의 밤하늘에 펼쳐진다. 사람 마음 사무쳐야 별들이 장관壯觀을 펼친다. 지상의 사람들에게는 저마다의 견우와 직녀가 있을까? 사는 동안 온통 ‘불타는 홀몸’일 수 있을까?
윤재웅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