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논문명 | 발행기관 | 발행연도 |
| 이광수 | 지훈과 미당의 시론 비교 | 고려대학교 | 1985.02. |
| 김은자 | 한국 현대시의 공간의식에 관한 연구 : 김소월·이상·서정주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 1986.08. |
| 이영희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삶의 인식방법 연구 | 경희대학교 | 1987.08. |
| 이몽희 | 한국근대시와 무속적 구조연구 : 김소월·이상화·이육사·서정주를 중심으로 | 동아대학교 | 1988.08. |
| 이경희 | 시적 언술에 나타난 한국현대시의 병렬법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1989.02. |
| 이진흥 | 서정주시의 심상연구 : <화사집>에서 <동천>까지 | 영남대학교 | 1989.02. |
| 육근웅 | 서정주 시 연구 | 한양대학교 | 1991.02. |
| 문정희 | 서정주 시 연구 : 물의 심상과 상징체계를 중심으로 | 서울여자대학교 | 1993.08. |
| 유혜숙 | 서정주 시 연구 : 자기실현 과정을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 1995.02. |
| 손진은 | 서정주 시의 시간성 연구 | 경북대학교 | 1996.02. |
| 정유화 | 서정주 시의 기호론적 연구 : 이항대립과 매개항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 1996.02. |
| 윤재웅 | 서정주 시 연구 | 동국대학교 | 1996.08. |
| 김수이 | 서정주 시의 변천 과정 연구 : 욕망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 1997.08. |
| 심재휘 | 1930년대 후반기 시 연구 : 백석, 이용악, 유치환, 서정주 시의 시간의식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1997.08. |
| 엄경희 | 서정주 시의 자아와 공간, 시간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1998.02. |
| 유지현 | 서정주 시의 공간 상상력 연구 : 『화사집』에서 『질마재 신화』까지 | 고려대학교 | 1998.02. |
| 김선영 | 서정주 시 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 1998.08. |
| 박명자 | 한국 현대시의 눈물의 시학 연구 : 한용운, 김현승, 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 원광대학교 | 1999.02. |
| 임도한 | 한국 현대 생태시 연구 | 고려대학교 | 1999.02. |
| 장정렬 | 한국 현대 생태주의 시 연구 | 한남대학교 | 1999.02. |
| 배영애 |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의식 연구 : 한용운·서정주·조지훈 시를 중심으로 | 숙명여자대학교 | 1999.08. |
| 전미정 | 한국 현대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의 시를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 1999.08. |
| 차호일 | 미당 시에 나타난 여인상 연구 | 경남대학교 | 1999.08. |
| 김정신 | 서정주 시의 변모과정 연구 | 경북대학교 | 2000.08. |
| 남진우 | 미적 근대성과 순간의 시학 연구 | 중앙대학교 | 2000.08. |
| 연은순 | 서정주 시 연구 | 청주대학교 | 2000.08. |
| 김진희 | 생명파 시의 현대성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2001.02. |
| 오용기 | 한국 현대시의 한에 대한 연구 : 김소월, 서정주, 박재삼의 시를 중심으로 | 우석대학교 | 2001.02. |
| 허윤회 | 서정주 시 연구 : 후기시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 2001.02. |
| 김종호 | 서정주 시의 영원지향성 연구 | 상지대학교 | 2001.08. |
| 이명희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연구 : 서정주, 박재삼, 김춘수, 전봉건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 2002.02. |
| 장창영 | 서정주 시 연구 : 형상화 방식과 의식세계를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 2002.02. |
| 강영미 | 한국 현대시의 전통과 시형에 관한 연구 : 이병기, 김영랑, 서정주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2002.08. |
| 오정국 | 한국 현대시의 설화 수용 양상 연구 | 중앙대학교 | 2002.08. |
| 김점용 | 서정주 시의 미의식 연구 : '죽음 환상'과 '모성 환상'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 2003.02. |
| 이경수 |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 구조 : 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ㆍ이용악ㆍ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2003.02. |
| 최정숙 | 한국 현대시의 민속 수용양상 연구 : 백석·서정주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 2003.02. |
| 최현식 | 서정주와 영원성의 시학 | 연세대학교 | 2003.02. |
| 서덕주 | 현대 선시 텍스트의 생성과 해체성 연구 : 한용운, 서정주, 조지훈, 고은의 현대 선시를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 2004.08. |
| 윤종영 | 1950년대 한국 시정신 연구 | 대전대학교 | 2005.02. |
| 정형근 | 서정주 시 연구 : 판타지와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 2005.02. |
| 김옥성 | 한국 현대시의 불교적 시학 연구 : 한용운, 조지훈, 서정주의 시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 2005.08. |
| 박순희 | 미당 서정주 시 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 2005.08. |
| 서동인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생명성'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05.08. |
| 박소유 | 서정주 시의 공간의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 2006.02. |
| 오태환 | 서정주 시의 무속적 상상력 연구 | 고려대학교 | 2006.02. |
| 이영광 | 서정주 시의 형성 원리와 시의식의 구조 | 고려대학교 | 2006.02. |
| 김경란 | 현대시의 탈식민지주의 페미니즘 : 김소월, 한용운, 서정주의 시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 2006.08. |
| 이수정 | 서정주 시에 있어서 영원성 추구의 시학 | 서울대학교 | 2006.08. |
| 김기택 | 한국 현대시의 '몸' 연구 : 이상화·이상·서정주의 시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 2007.08. |
| 손화영 | 한국 현대시의 대화적 관계 양상 연구 | 동의대학교 | 2007.08. |
| 박수빈 | 백석과 서정주의 서술시 비교 연구 : 시집『사슴』과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 아주대학교 | 2008.02. |
| 오준 | 『화사집』분석을 통해 본 서정주 시의 이원성 : 은유와 은폐 | 중앙대학교 | 2008.02. |
| 이송희 | 서정주 시 텍스트의 인지시학적 연구 | 전남대학교 | 2008.02. |
| 박선영 | 서정주 시의 공간 은유 연구 | 숭실대학교 | 2008.08. |
| 권성훈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 경기대학교 | 2010.02. |
| 김영일 | 미당 서정주 시 연구 | 경성대학교 | 2011.02. |
| 안현심 | 서정주의 후기시 연구 | 한남대학교 | 2011.02. |
| 문태준 | 서정주 시의 불교적 상상력 연구 | 동국대학교 | 2011.08. |
| 임곤택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전통의 미학적 수용 양상 연구 : 1950~60년대 서정주, 조지훈, 김춘수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2011.08. |
| 김운향 | 서정주 시에 나타난 생명의식 연구 | 고려대학교 | 2012.02. |
| 박미정 | 한국 현대 해양시 연구 : 공간성을 중심으로 | 신라대학교 | 2013.02. |
| 박민규 | 해방기 시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3.02. |
| 방정민 | 서정주 시에 나타난 동양적 시간의식 연구 | 부경대학교 | 2013.02. |
| 김익균 | 서정주의 신라정신과 남한 문학장 | 동국대학교 | 2013.08. |
| 조춘희 | 전후 서정시의 전통 담론 연구 : 조지훈, 서정주, 박재삼을 중심으로 | 부산대학교 | 2013.08. |
| 김청우 | 한국 전후시의 공간 인지 특성 연구 : 서정주, 신동문, 김구용을 중심으로 | 전남대학교 | 2016.08. |
| 최호빈 | 해방 후 한국 현대시론의 형성 과정 연구 | 고려대학교 | 2017.02. |
| 박옥순 | 서정주의 '떠돌이 시'와 무등시학(無等詩學) 연구 : 여행 체험과 시적 표상 공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 2017.08. |
| 이병철 | 서정주 시에 나타난 미각과 후각 이미지 연구 | 한양대학교 | 2019.02. |
| 이원영 | 서정주 시를 활용한 은유적 상상력 교육 연구 | 동국대학교 | 2019.02. |
| 노홍주 | 미당 문학문화콘텐츠 연구 | 동국대학교 | 2019.08. |
| 전지윤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를 위한 시 교육 연구 | 공주대학교 | 2021.02. |
| 이재은 | 1930년대 한국 근대시와 식민지 모더니즘의 시간성 : 이상ㆍ서정주ㆍ백석ㆍ김기림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 202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