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k University
나그네의 꽃다발
내 어느 해던가 적적하여 못 견디어서
나그네 되여 호을로 산골을 헤매다가
스스로워 꺾어 모은 한 옹큼의 꽃다발
그 꽃다발을 나는
어느 이름 모를 길가의 아이에게 주었느니.
그 이름 모를 길가의 아이는
지금쯤은 얼마나 커서
제 적적해 따 모은 꽃다발을
또 어떤 아이에게 전해 주고 있는가?
그리고 몇십 년 뒤
이 꽃다발의 선사는 또 한 다리를 건네어서
내가 못 본 또 어떤 아이에게 전해질 것인가?
그리하여
천 년이나 천오백 년이 지낸 어느 날에도
비 오다가 개이는 산 변두리나
막막한 벌판의 해 어스럼을
새 나그네의 손에는 여전히 꽃다발이 쥐이고
그걸 받을 아이는 오고 있을 것인가?
-『동천』(1968) 수록
※
미당의 시를 읽을 때는 머릿속에 불이 켜진다. 혈색이 돈다. 미당은 숙명으로 날것을 문다. 매서운 눈빛으로 토하듯 써내려 간다. 시력詩歷만으로 시대를 호령했던 호랑이, 미당은 그런 시인이다. 미당은 혈穴이다.
<나그네의 꽃다발>은 인류의 영혼을 순환시킨다. 일체의 억제를 풀어 경계를 없애고 혼란을 잠재운다. 지상의 아주 작은 것에서 온기를 갈구하고 희망하도록 직조된 이 시는 다음 세대에게 꼭 쥐어 준 편지다. 저 장구한 외침은 흔들림이 없다. 이 꽃다발을 영속의 시간 동안 건네주고 건네받는다면 앞으로 전쟁도 그보다 더한 싸움도 없을 것이다. 적어도 천 년 동안에는.
이병률 시인